금산 화학공장 불산 성분 400kg 또 누출
주민 10여 명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고통 호소 병원 입원
이번이 네 번째 누출, 더 큰 사고 부르기 전에 공장 폐쇄해야...
공장 측 사고 직후 주민 대피 등 기본 안전 매뉴얼 안 지켜...
4일 오후 6시경 금산 군북면 조정리 화학공장 (주)램테크롤러지에서 약 400kg의 불산 성분이 누출돼 화학소방차가 출동하고 주민 80여 명이 인근 군북 초등학교로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불산 중화작업 중 불산 성분이 함유된 흰 연기가 치솟고 있다-
충남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34분께 금산군 군북면 조정리 반도체용 화학제품 제조업체인 (주)램 테크놀로지에서 400kg 가량의 불산(농도 49∼55%)과 물이 섞여 누출됐다고 밝혔다. 방제에 참여한 공장 관계자는 방지턱과 불산이 고여 있는 지름 2m 웅덩이에 소석회를 뿌려 중화작업을 했다고 전했다.
-사고지역 주민들이 군북초등학교 체육관에 대피해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이번 불산 누출 사고 원인이 2제조소에서 탱크로리 충천 작업 중 충전 배관 라인에 설치된 필터 하우징 보호용 안전장치 파손으로 회수 장치에서 불산이 흘러넘쳐 유출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불산 누출을 처음 발견한 주민 이 모 씨는 이날 오후 5시 30분경 화학공장 쪽에서 흰 연기가 피어오르면서 메스꺼운 냄새가 나자 마을 이장에게 전화로 알렸다. 사고 소식을 접한 조정리 황 모 이장은 확인차 사고가 난 공장을 찾아갔으나 호흡이 어려울 정도로 메케한 냄새가 진동해 현장에 접근하지 못하고 다시 내려와 119에 신고했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6시 34분 조정리 이장으로부터 전화신고를 받은 119는 사고 현장으로 긴급 출동해 소석회를 이용해 방제 작업을 벌였다. 그러나 사고를 낸 공장 측은 화학물질 누출 사고시 주민대피 등 기본적인 안전 매뉴얼이 있는데도 사고 발생 한 시간 여가 돼서야 마을 이장에게 알리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본 기자가 마을 주민으로부터 불산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는 제보 전화를 받은 시각이 오후6시 38분이다. 현재 불산에 노출된 사고 지역 주민 10여 명이 어지럼증과 두통, 메스꺼움 등을 호소해 병원에 입원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119에 신고한 조정리 이장의 휴대전화통화기록을 토대로 정리해보면 불산 누출 사고 목격 이후 주민 대피까지 약 한 시간 가량 소요됐다.
-2016년 6월 4일(사고 발생 당일)
-오후 5:30분경 주민 이 모 씨가 화학공장서(램테크롤러지) 흰 연기가 올라오는 것을 발견
-오후 6:20분 공장쪽에서 흰 연기가 차츰 더 많이 올라오자 이 모 씨가 조정리 황 모 이장에게 전화함
-오후 6:34분 이 모 씨로부터 전화를 받은 황 모 이장은 확인차 공장을 찾아갔으나 메케한 냄새와 흰 연기로 사고 현장에 접근하지 못하고 내려와 119에 신고함
-오후 6:50분 금산소방서 119로부터 황 이장에게 마을 주민들을 안전지대로 대피하라고 전달함
-오후 6:52분 조정리 황 모 이장은 마을 방송시설을 이용해 마을 주민들에게 군북 초등학교로 빨리 대피하라고 방송함
-오후 7:10분 마을 주민들을 군북 초등학교 체육관으로 모두 대피시킴
-오후 7:14분 조정리 이장, 공장 관계자로부터 불산 누출 사고가 났다는 전화 연락을 받음
램테크놀로지 공장 측 CCTV의 영상은 최초 유출 시각이 6시 4분경이다.
위 내용 대로라며 사고 발생 직후부터 소방서에 신고, 주민대피까지 걸린 시각은 약 한 시간가량이 소요되었다는 것, 공장 측의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매뉴얼에 따른 안전 관리 비상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현재 사고 지역에서 긴급 대피했던 마을 주민들은 집으로 귀가하지 않고 군북 초등학교 체육관에 그대로 머무르고 있다. 귀가할 수 없는 이유는 반복되는 불산 누출 위험으로부터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장을 폐쇄한다는 약속 없이는 마을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민가 지역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독극물을 취급하는 기업이 사고 후 기본적인 안전 매뉴얼을 지키기는커녕 반복적인 사고를 일으키고 이를 축소 은폐하려는 데만 급급, 주민의 생명을 담보로 돈만 벌려는 파렴치한 기업은 이 사회에서 퇴출해야 하며 법이 정한 가장 강력한 행정처분을 내려서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며 성토했다.
이 화학공장은 불산 누출 사고가 처음이 아니다 2013년부터 이번까지 네 번째 상습적으로 누출 사고를 일으켰다. 2014년 한 해만도 4월과 8월 연거푸 두 번의 불산 누출 사고로 성묘객과 주민, 공장 직원 등 7명이 부상을 당해 병원에 입원하는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등 사고 전력을 갖고 있는 기업이다.
이 일로 국회 환노위에서 국정감사까지 받았으나 또다시 불산 누출 사고를 내 물의를 빚고 있다. 더구나 이 화학공장은 민가 지역에 들어와 있으면서 잦은 누출 사고로 주민들이 불면증에 시달리는 등 불안과 공포에 떨고 있다. 이 위험한 화학공장을 더 이상 민간인 거주 지역에 그대로 두어서는 안되는 이유다.
지난해 대전지법 형사 2단독(부장판사 이종민)은 업무상과실치상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 불산 가스 누출로 인근 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힌 책임을 물어 회사와 공장장 길모(55) 씨를 비롯해 직원들에게 각각 1000만 원부터 300만 원까지 벌금형을 선고했다.
또 사고 현장에서 약 1km 떨어진 서대리 마을 한가운데 이 화학공장에서 생산된 불산 완제품이 보관창고에 쌓여 있어 언제든지 대형사고 위험을 안고 있다. 어떻게 해서 1급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장과 보관창고가 버젓이 마을 한가운데에 허가가 났는지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인허가 과정서 위법행위가 있었는지도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피해 주민들은 "2014년 8월 불산 누출 사고 이후 흰 연기만 봐도 깜짝깜짝 놀랄 정도로 트라우마가 생겨 밤잠을 설치고 있다"면서 "아직까지도 주민들의 정신적 육체적 상처가 아물지 않았는데 또다시 불산 누출이라니 해도 해도 너무하는 것 아니냐?"며 "더 이상 솜방망이 처벌은 안된다 불산 공장 폐쇄만이 모두가 사는 길 "이라고 말했다.
현재 피해 주민들은 민가와 불과 200여 미터 가까에 있는 화학공장에서 언제 또다시 누출 사고가 터질지 몰라 불안하다며 불산 공장 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이 화학공장은 기초무기. 유기화학물질 제조업 및 폐기물 중간처리(폐NMP 재활용) 업체로 2007년 제2종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주거지역 내 입주해 불산과 폐유기 용재 등 화학폐기물 재생처리 시설을 갖추고 식각액, 세정제 등을 반도체 및 전자제품 생산공장에 납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길준잉 대표는 사고가 나기 전 지인들과 함께 중국으로 출장 여행을 떠나 현재 국내에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사고 소식을 전달했으나 비행기 표를 못 구해 7일 오전에 귀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길 대표가 귀국하는 대로 사고 수습과 세부적인 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산중앙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 천내강서 70대 할머니 다슬기 잡다가 물에 빠져 숨져... (0) | 2016.06.22 |
---|---|
금산·대전 통합 선택은『군민의 몫』 (0) | 2016.06.11 |
금산군, 민원인 개인정보 외부 유출 논란 (0) | 2016.05.20 |
김성식 금산신문 사장 암 투병 중 별세 (0) | 2016.05.05 |
제6회 재가 어르신 장애인 가족 한마당 큰 잔치 개최 (0) | 2016.05.02 |
댓글